시작하기
4천 명의 프로덕트 디자이너 중에서 선택된 포트폴리오
제작 배경
포트폴리오를 만드는 어려움
최근 서핏 내에서 이뤄지는 커리어 · 채용 데이터를 살펴보면서, 이용자 분들의 커리어에 도움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왔습니다.
그래서 다양한 이용자 분들과 커리어 상담소를 200회 이상 진행했고, 많은 분들이 잘못된 포트폴리오를 만드는데 시간을 낭비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대체로 포트폴리오 만드는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거나, 어떻게 만들어야 될지 해메거나, 잘못된 결과를 얻어도 어떻게 개선해야 될지 알기 어렵기도 했습니다.
이런 고민들을 해결하기 위한 멘토링 과정에서는 좋은 포트폴리오를 비교하여 설명할 때 가장 크게 도움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하면서 가이드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1️⃣ 좋은 포트폴리오를 만드는 건 어렵지 않습니다.
포트폴리오를 만드는게 어려운 이유는 좋은 예시를 볼 기회가 없고, 보더라도 어떤 포트폴리오가 좋은지 그리고 왜 좋은지, 기업에서 평가하는 관점도 알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디자이너에게는 포트폴리오가 가장 중요합니다. 포트폴리오는 자신의 경험을 잘 표현하는 일이고, 이는 이용자에게 복잡한 서비스를 설득력 있게 전달하는 디자이너의 업무와도 비슷합니다. 그래서 중요합니다. 같은 프로젝트라도 구성하는 방법에 따라 평가가 완전히 달라질 수 있고, 평범한 학력을 갖고 계시더라도 유니콘 스타트업에서 높은 연봉을 받고 계신 분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아쉬움과 안타까움이 느껴졌습니다. 정말 잘 만든 포트폴리오는 어떻게 만들었는지, 어떤 포트폴리오를 가진 사람이 이직 제안을 많이 받고, 높은 연봉을 받는지 그리고 기업 담당자들은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평가하는지를 이해하면, 더 이상 포트폴리오를 만드는게 어렵지 않습니다.
2️⃣ 4천 명 프로덕트 디자이너 중에서 선택된 포트폴리오
모든 직군에게 적용될 수 있는 가이드를 만들 수는 없지만, 포트폴리오에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논리적인 구성과 설득력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전달력을 높이려면 깔끔한 디자인도 배제될 수 없기 때문에 프로덕트 디자이너의 포트폴리오가 가장 적합하게 생각됐습니다.
그래서 서핏에 등록된 4천 명의 프로덕트 디자이너 분들 중 가장 표준이 될만한 포트폴리오를 선정하고 이에 대한 가이드를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1. 프로덕트 디자이너 역량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포트폴리오
2. 문제 해결에 대한 인과관계가 분명한 포트폴리오
3. 잘 읽히고 전달력 높은 포트폴리오
4. 누구나 쉽게 참고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
이 가이드는 아래 데이터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 인재 2만명의 커리어 · 채용 데이터에서 얻은 인사이트
- 커리어 상담소에서 많은 분들이 어려움을 겪으셨던 내용
- 수백 명의 스타트업 대표 · 인사담당자 미팅에서 얻은 인사이트
- 그동안 서핏에서 소개된 아티클의 인사이트까지
3️⃣ 한번 알아두면 커리어 내내 도움되는 것을 담았습니다.
프로덕트 디자이너 기준으로 가이드가 제작되었지만, 대체로 논리적인 프로젝트 구성이나 내용의 전달력을 높이는 방법에 포커스가 맞춰져 있습니다. 그래서 연차나 직무에 무관하게 커리어에 내내 도움될 수 있는 내용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가이드 내용으로 포트폴리오를 업데이트하신 분들은 연속된 서류 탈락으로 자신감이 많이 없어진 상황에서도 어렵지 않게 이직에 성공하셨고, 퇴사 후 취업이 되지 않아서 오랫동안 공백기간을 가지셨던 분들도 대기업 혹은 유니콘 스타트업에 합격했다는 소식을 전해주시기도 했습니다.
저는 이 가이드를 통해서 누구나 좋은 포트폴리오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전보다 훨씬 더 좋은 기업에 합격할 수 있는 수준이 될 수 있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채용 시장이 어려워도, 좋은 포트폴리오를 가진 디자이너에게 이직은 언제나 설레는 일입니다. 업계에서 매력적인 인재로 보여질 수 있는 방법을 학습하고, 내 포트폴리오에 적용해보세요.
목차
- 시작하기
- 포트폴리오 가이드 (45분 분량)
- 포트폴리오와 인터뷰 팁 (27분 분량)
- 나에게 맞는 회사는 어디일까? (29분 분량)
- 스타트업 마인드셋과 커리어 팁 (20분 분량)
- 1:1 커리어 멘토링 (선택, 90분)
제작자 소개
김진욱, Founder @서핏
디자이너 출신으로 13년 동안 다양한 스타트업과 대기업 계열 VC의 컴퍼니빌딩 조직에서 디자인을 리드했습니다. 서핏에서는 초기 제품의 디자인과 코딩을 담당했고, 이후 대표직과 함께 제품/디자인을 리드했습니다.
서핏에서는 1년 이상 함께 일한 디자이너 분들이 모두 유니콘 스타트업으로 이직할 만큼 팀원의 커리어 성장을 이끌었습니다.
테크·스타트업 기업과 재직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서핏은 현재 이용자 10만명, 이력 데이터는 2.2만명이 등록되어 있습니다.
김수아, Product Designer
포트폴리오 제작자인 수아님은 5년 차 디자이너로 '라라잡'이라는 초기 스타트업에서 사수 없이 유일한 디자이너로 100만 다운로드의 서비스를 만들었습니다.
이 포트폴리오는 라라잡에서 약 3년 동안 일한 경험이 담겨있고, 이 포트폴리오를 제출하여 토스 · 당근 · 라포랩스 · 트릿지 · AB180 · 픽소 · 구름 등에 합격할 수 있었습니다.
Disclaimer
참고해주세요
- 대상 : 이 가이드는 프로덕트 디자이너(연차 무관) 대상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논리적인 구조로 전달력 높은 포트폴리오를 만드는 방법에 집중하고 있기 때문에 PM, 마케터 등 다양한 직무에서도 도움되는 결과를 확인했습니다.
- 가이드의 근거 : 최대한 많은 데이터와 다수의 경험적 근거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하지만 광범위한 내용을 다루고 있고, 개인정보 문제가 있기 때문에 충분한 근거가 제시되기 어렵고, 일부 내용은 주관적인 견해에 기반할 수 있습니다.
- 포트폴리오 의존성 : 이 가이드는 포트폴리오 기준으로 소개되기 때문에 설명 순서가 포트폴리오에 의존적입니다. 중요한 내용은 반복될 수 있습니다.
- 한계 : 가이드는 다양한 환경을 고려하여 제작하였으나 기업 유형과 도메인 등으로 약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아래 링크에서 가이드를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가이드 구입 전 궁금하신 점은 이 문서의 댓글이나 판매 페이지에서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구입 후 추가 설명이 필요한 내용은 가이드 문서 내에 남겨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